728x90
반응형
SMALL
Static Pages와 Dynamic Pages
- Static Pages
- Web Server는 파일 경로 이름을 받아 경로와 일치하는 file contents를 반환한다.
-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한다.
- Ex) image, html, css, javascript 파일과 같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
- Dynamic Pages
- 인자의 내용에 맞게 동적인 contents를 반환한다.
- 즉, 웹 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만들어진 결과물 * Servlet: WAS 위에서 돌아가는 Java Program
- 개발자는 Servlet에 doGet()을 구현한다.
Web Server와 WAS의 차이
Web Server
- Web Server의 개념
-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분된다.
- 1) 하드웨어
- Web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
- 2) 소프트웨어
-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(.html .jpeg .css 등)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
- Web Server의 기능
-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 또는 웹 크롤러)의 요청을 서비스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.
- 요청에 따라 아래의 두 가지 기능 중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행한다.
- 기능 1)
- 정적인 컨텐츠 제공
- WAS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자원을 제공한다.
- 기능 2)
- 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 전달
- 클라이언트의 요청(Request)을 WAS에 보내고, WAS가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(응답, Response)한다.
-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를 의미한다.
- Web Server의 예
- Ex) Apache Server, Nginx, IIS(Windows 전용 Web 서버) 등
WAS(Web Application Server)
- WAS의 개념
- DB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Server
- HTTP를 통해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주는 미들웨어(소프트웨어 엔진)이다.
- “웹 컨테이너(Web Container)” 혹은 “서블릿 컨테이너(Servlet Container)”라고도 불린다.
- Container란 JSP,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.
- 즉, WAS는 JSP, Servlet 구동 환경을 제공한다.
- WAS의 역할
- WAS = Web Server + Web Container
- Web Server 기능들을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제시되었다.
- 분산 트랜잭션, 보안, 메시징, 쓰레드 처리 등의 기능을 처리하는 분산 환경에서 사용된다.
- 주로 DB 서버와 같이 수행된다.
- 현재는 WAS가 가지고 있는 Web Server도 정적인 컨텐츠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성능상 큰 차이가 없다.
- WAS의 주요 기능
- 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DB 접속 기능 제공
- 여러 개의 트랜잭션(논리적인 작업 단위) 관리 기능
- 업무를 처리하는 비즈니스 로직 수행
- WAS의 예
- Ex) Tomcat, JBoss, Jeus, Web Sphere 등
Web Server와 WAS를 구분하는 이유
- Web Server가 필요한 이유?
-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에 이미지 파일(정적 컨텐츠)을 보내는 과정을 생각해보자.
- 이미지 파일과 같은 정적인 파일들은 웹 문서(HTML 문서)가 클라이언트로 보내질 때 함께 가는 것이 아니다.
- 클라이언트는 HTML 문서를 먼저 받고 그에 맞게 필요한 이미지 파일들을 다시 서버로 요청하면 그때서야 이미지 파일을 받아온다.
- Web Server를 통해 정적인 파일들을 Application Server까지 가지 않고 앞단에서 빠르게 보내줄 수 있다.
- 따라서 Web Server에서는 정적 컨텐츠만 처리하도록 기능을 분배하여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.
-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에 이미지 파일(정적 컨텐츠)을 보내는 과정을 생각해보자.
- WAS가 필요한 이유?
- 웹 페이지는 정적 컨텐츠와 동적 컨텐츠가 모두 존재한다.
- 사용자의 요청에 맞게 적절한 동적 컨텐츠를 만들어서 제공해야 한다.
- 이때, Web Server만을 이용한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요청에 대한 결과값을 모두 미리 만들어 놓고 서비스를 해야 한다.
- 하지만 이렇게 수행하기에는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.
- 따라서 WAS를 통해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DB에서 가져와서 비즈니스 로직에 맞게 그때 그때 결과를 만들어서 제공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- 웹 페이지는 정적 컨텐츠와 동적 컨텐츠가 모두 존재한다.
- 그렇다면 WAS가 Web Server의 기능도 모두 수행하면 되지 않을까?
- 기능을 분리하여 서버 부하 방지
- WAS는 DB 조회나 다양한 로직을 처리하느라 바쁘기 때문에 단순한 정적 컨텐츠는 Web Server에서 빠르게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것이 좋다.
- WAS는 기본적으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하는 서버이다.
- 만약 정적 컨텐츠 요청까지 WAS가 처리한다면 정적 데이터 처리로 인해 부하가 커지게 되고, 동적 컨텐츠의 처리가 지연됨에 따라 수행 속도가 느려진다.
- 즉, 이로 인해 페이지 노출 시간이 늘어나게 될 것이다.
-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보안 강화
- SSL에 대한 암복호화 처리에 Web Server를 사용
- 여러 대의 WAS를 연결 가능
- Load Balancing을 위해서 Web Server를 사용
- fail over(장애 극복), fail back 처리에 유리
- 특히 대용량 웹 어플리케이션의 경우(여러 개의 서버 사용) Web Server와 WAS를 분리하여 무중단 운영을 위한 장애 극복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.
- 예를 들어, 앞 단의 Web Server에서 오류가 발생한 WAS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한 후 WAS를 재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오류를 느끼지 못하고 이용할 수 있다.
- 여러 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가능
- 예를 들어, 하나의 서버에서 PHP Application과 Java Application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
- 기타
- 접근 허용 IP 관리, 2대 이상의 서버에서의 세션 관리 등도 Web Server에서 처리하면 효율적이다.
- 기능을 분리하여 서버 부하 방지
- 즉, 자원 이용의 효율성 및 장애 극복, 배포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 을 위해 Web Server와 WAS를 분리한다.
- Web Server를 WAS 앞에 두고 필요한 WAS들을 Web Server에 플러그인 형태로 설정하면 더욱 효율적인 분산 처리가 가능하다.
Web Service Architecture
-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.
- Client -> Web Server -> DB
- Client -> WAS -> DB
- Client -> Web Server -> WAS -> DB
3번 구조의 동작과정
- Web Server는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는다.
- Web Server는 클라이언트의 요청(Request)을 WAS에 보낸다.
- WAS는 관련된 Servlet을 메모리에 올린다.
- WAS는 web.xml을 참조하여 해당 Servlet에 대한 Thread를 생성한다. (Thread Pool 이용)
-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하여 Servlet에 전달한다.
- 5-1. Thread는 Servlet의 service() 메서드를 호출한다.
- 5-2. service() 메서드는 요청에 맞게 doGet() 또는 doPost() 메서드를 호출한다.
- protected doGet(HttpServletRequest request, HttpServletResponse response)
- doGet() 또는 doPost() 메서드는 인자에 맞게 생성된 적절한 동적 페이지를 Response 객체에 담아 WAS에 전달한다.
- WAS는 Response 객체를 HttpResponse 형태로 바꾸어 Web Server에 전달한다.
- 생성된 Thread를 종료하고,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제거한다.
참고 DBMS와 MiddleWare의 개념
- 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)
- 다수의 사용자들이 DB 내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
- DBMS는 보통 Server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.
- Ex) MySQL, MariaDB, Oracle, PostgreSQL 등
- Q) DBMS Server에 직접 접속해서 동작하는 Client Program의 문제점?
- Client에 로직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Client Program의 크기가 커진다.
- 로직이 변경될 때마다 매번 배포가 되어야 한다.
- Client에 대부분의 로직이 포함되어 배포가 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.
- A) =>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MiddlWare가 등장했다.
- MiddleWare
- Client - MiddleWare Server - DB Server(DBMS)
- 동작 과정
-
- Client는 단순히 요청만 중앙에 있는 MiddleWare Server에게 보낸다.
- MiddleWare Server에서 대부분의 로직이 수행된다.
- 이때, 데이터를 조작할 일이 있으면 DBMS에 부탁한다.
- 로직의 결과를 Client에게 전송한다.
- Client는 그 결과를 화면에 보여준다.
-
- 즉, 비즈니스 로직을 Client와 DBMS 사이의 MiddleWare Server에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Client는 입력과 출력만 담당하게 된다.
관련된 Post
- Web Application Structure과 web.xml 설정 내용, 역할 및 간단한 예시에 대해 알고 싶으시면 Web Application Structure 이해하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출처
https://www.edwith.org/boostcourse-web/lecture/16666/
http://2dubbing.tistory.com/29
https://okky.kr/article/243427
http://jeong-pro.tistory.com/84
728x90
LIST
'백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icrosoft Azure]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key vault 만들고 DBeaver연동,접속하기 (0) | 2023.12.14 |
---|---|
[리눅스] vi편집기 사용법,명령어 정리 (1) | 2023.10.07 |
[Java] stream API (filter) (0) | 2023.06.27 |
[Java] Stream API란 - fiter /map /of (0) | 2023.06.27 |
[Spring Framework] server.xml 에 대하여 알아보자 (1) | 2023.06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