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엔드

[java] 상속 (상위 클래스, 하위 클래스)

음그냥 2025. 3. 18. 00:49
728x90
반응형

등급별로 혜택이 다른경우, If문을 여러개 줄줄이 다는 것보단 상속으로 클래스를 빼는게 좋음

 

하위 클래스가 생성 되는 과정

 

  • 하위 클래스를 생성하면 상위 클래스가 먼저 생성 됨
  • new VIPCustomer()를 호출하면 Customer()가 먼저 호출 됨
  • 클래스가 상속 받은 경우 하위 클래스의 생성자에서는 반드시 상위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 함

 

super 키워드

  • 하위 클래스에서 가지는 상위 클래스에 대한 참조 값
  • super()는 상위 클래스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 함
  • 하위 클래스에서 명시적으로 상위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하지 않으면 super()가 호출 됨
    ( 이때 반드시 상위 클래스의 기본 생성자가 존재 해야 함)
  • 상위 클래스의 기본 생성자가 없는 경우 ( 다른 생성자가 있는 경우 ) 하위 클래스에서는 생성자에서는 super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상위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 함
  • super는 생성된 상위 클래스 인스턴스의 참조 값을 가지므로 super를 이용하여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나 멤버 변수에 접근할 수 있음

 

 

상속에서 인스턴스 메모리의 상태

항상 상위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먼저 생성되고, 하위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생성 됨

 

 

 

Customer vc = new VIPCustomer();

업캐스팅 한 경우, 부모타입의 객체,메서드만 사용가능

 

 

형 변환(업캐스팅)

 

  •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타입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상위 클래스로의 묵시적 형 변환이 가능함
  • 상속 관계에서 모든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로 형 변환(업캐스팅)이 됨
    (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음)

 

 

 

 

- If문이 많아질경우 상속으로 클래스를 빼는게 좋음

(등급별로 혜택이 다른 경우 If ~ Else 문을 여러번쓰는것보다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쓰는게 깔끔)


- 상속하는 이유는 상위클래스로의 형변환을 이용한 다형성을 위해씀 

- This() 의 다른기능은 자기클래스의 다른클래스의 생성자호출기능도 있음
- super키워드는 하위클래스가 상위클래스 인스턴스의 참조값을 가짐
- 자식클래스 생성자에 super키워드없어도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넣어주기때문에 직접 내가 super라고 명시적으로 쓸 필요없음
- 매개변수있는 super는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못넣어줌
- 상속관계에서 다형성때문에 Customer cs = new VIP Customer(); 으로 생성하면, cs의 타입은 부모타입인 Customer만 사용가능함
- 힙메모리에 생성은 부모+자식 생성되지만, 실제사용은 타입이 부모타입이라 부모클래스에 있는 필드나 메서드 사용가능

728x90
반응형